최근 게시물

like playing in the playground

  • Published on
    I needed to iterate through all image repositories in my private container registry, find the latest build for each, and save them as individual tar files. Although an LLM can generate code for this task quickly, it's worth knowing how to issue an authentication token for the Docker API. This could be important for guiding the LLM to produce a correct final version.
  • Published on
    I needed to set up a self-hosted Git system and was looking for an open-source tool that would fit my requirements. Gitea seemed like a great fit, and I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Gitea Actions, which is compatible with GitHub Actions. However, I struggled to correctly configure a Gitea Actions runner to use a container image from a private repository. Through that process, I gained a much better understanding of how Gitea offers a CI/CD system compatible with GitHub Actions. In this post, I'll share what I learned.
  • Published on
    I recently had the valuable opportunity to experience building a Flutter application from scratch using Gemini CLI at my company's one-day AI hackathon. It was an insightful experience to understand vibe coding firsthand. This also gave me thoughts on what skills I need to continue developing in the AI era.
  • Published on
    HTTP 요청은 서버에서 Location Header를 통해서 HTTPS를 Redirection을 하고 있다. 그런데 방화벽에 의해서 80번 포트는 막혀있어서 http 요청은 timeout이 발생하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브라우저에서 http로 요청을 하면 정상적으로 https redirection이 되어서 해당 도메인으로 정상적으로 접속이 가능하다. 방화벽에 막혀서 80번 포트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응답을 못 받는데, 어떻게 브라우저에서는 http로 접근이 가능한 것이지? 이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 HSTS의 존재와 역할을 이해하면 답을 할 수 있다. 이번 글에서는 간단하게 HSTS를 살펴본다.
  • Published on
    GCP의 관리형 데이터베이스 서비스인 SQL의 User를 관리할 때, 제약사항이 없다면 IAM 인증을 활용하는 것을 고려하자. Google Workspace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미 생성된 구글 이메일 계정과 Group을 통해서 데이터베이스 접속 권한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User를 비밀번호 인증으로 생성하여 관리하는 대신에, 구글 계정으로 인증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접속할 수 있도록 관리하자. 이번 글에서는 IAM 인증을 위한 설정 방법을 설명한다.